2021년 9월 21일은 우리민족의 최대 명절인 한가위입니다. 한가위 유래는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유리왕때 (서기 32년) 남자들은 무예 경연을 하고 여인들은 길쌈 대회를 하면서 음식을 나누어 먹고, 가무 관현을 즐기면서 8월 보름절 3일간을 즐겼다고 합니다. 그리고 추석이라는 이름은 중국 역사서의 중추절, 중추 월석등에서 유래되었다 하며 한가위는 삼국사기등에 한가위, 가배절, 가위날로 기록되어 […]
지난달 8월 15일은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35년간 식민통치에서 벗어나 국권을 회복한 광복 76주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먼저 우리나라 독립을 위하여 몸과 마음을 바치신 애국 선열들의 명복을 빌면서 그의 후손들은 합당한 대우를 받고 자랑스럽게 살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8.15 광복절”은 1910년 일본에 국권을 빼앗긴 후, 1945년 8월 15일 국권을 회복한 날로 이를 경축하고 독립정신을 […]
제가 중국을 처음 알게 된것은 아주 어렸을때로 기억됩니다. 당시 시골 면 사무소에 다니던 아버지께서 노인 한분을 모시고 와서 사랑채에서 기거케 하셨는데 그분은 거기서 한약방을 하시면서 서당을 운영하셨습니다. 저는 그분한테서 천자문을 배웠고 그분이 지어주신 구룡탕 (당시 아이들의 보약)을 먹은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분은 가끔 저희 아버님께 “이것은 아주 귀한 중국것이니 어머님께 […]
2021년 7월, 일년의 반을 보내고 다시 반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간 저는 “진짜뉴스”에 투고를 하면서 희망찬 기쁜 내용을 공유하지 못해 아쉬움이 그지 없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모처럼 모든 시름 잊고 7월하면 떠오르는 국민 애송시 “청포도”를 읊조리며 계절의 멋과 향수를 함께 하고저 합니다. 지금 한국은 장마철을 맞아 폭우와 폭염이 반복되는 가운데 논에는 벼가 […]
제가 지난 6월 5일 “진짜뉴스”에 투고한 중국 시진핑의 국가 목표이며 통치이념인 “중국몽”과 “중국식 사회주의 가치관 (평등, 공평, 공정등) 구현” 실태를 피력한 바 있는데 독자수가 평소의 두배가 되는 높은 관심을 보여준데 대하여 우선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중국의 정책중 빼놓을수 없는 것이 한국에 대한 총소리 없는 침략 행위인 “동북 공정”과 경제침략인 “일대일로” 전략입니다. […]
2021년 6월 25일은 한국전쟁 71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이 남침하여 3년동안 치열한 전투끝에 1953년 7월 27일 휴전된 후 68년간 남북 군사력이 대치하고 있습니다. 이 3년간의 전투중에 UN 16개국이 전투에 직접 참전하고 6개국이 의료등 비 전투 요원으로 참여하였습니다. 이중 미군은 연인원 178만 9,000여명이 참전하여 애석하게도 3만 3,686명이 사망하고 9만 […]
6월은 호국 보훈의 달이며 금년은 6.25 전쟁 71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조국 분단과 동족 상잔의 6.25 전쟁과 관련하여 교민들과 단상을 나누고자 합니다.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북한군의 기습 남침으로 시작된 전쟁은 38도선을 남북이 각각 3회씩 넘나들면서 전 국토의 80%에서 전투를 벌이다 1953년 7월 27일 만 3년 1개월 2일만에 […]
제가 “진짜뉴스”의 독자가 된후 “진짜뉴스(https://jinjjanews.com/)”의 여러기사를 봐오면서 가장 충격받은 기사는 지난 3월 9일 보도한 남녀 성평등을 위한 “평등법”이고, 그후 이 법보다 더한 충격을 받은 기사는 지난 5월 27일 보도한 인간과 동물 유전자 합성을 가능케 한 “키메라 배아 연구 법안”관련 기사입니다. 그리고 제가 이렇게 크게 충격 받은 뉴스를 그 많은 언론사나 […]
저는 그간 “진짜뉴스”를 봐오면서 미국 정부의 정책관련 기사중 가장 많이 눈에 띄는 단어가 공정, 평등, 공평등이었으며 이들 단어는 소수 민족, 성소수자, 남녀, 인종, 저 소득자, 노동자등에 대한 정책에서 자주 등장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저는 미국의 새로운 정책들이 “중국 바이러스”에 전염된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와같은 의혹의 배경은 중국에서 2006년 10월에 […]
우리나라 속담중에 공짜와 관련한 것으로 “이 세상에 공짜는 없다, 공짜라면 양잿물도 큰것을 먹는다, 공짜라면 불속에도 뛰어든다, 공짜 좋아하면 대머리가 된다”등이 있는데 이들 속담에는 사람들이 공짜를 좋아하는 습성과 함께 공짜에 대한 경각심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특이 “이 세상에 공짜는 없다”라는 속담은 “댓가 없는 공짜는 없다”는 뜻으로 공짜가 생겼다면 그 공짜가 생길만한 원인이 […]